주식 투자 전 알아야 하는 ‘기업 지배 구조’ 항목

Jumping Into Mainstream

‘기업지배구조’는 계속성·성장성 담보…투자 전 체크하라

Img 59722 0

1. PER와 PBR은 공생하는 관계이므로 ‘고성장 저PBR 종목’에 집중해야 한다.

2. 대주주의 책임능력과 지배구조의 안전성은 기업의 계속성을 담보하므로 강한 예측 가능성을 제공한다.

[CEO랭킹뉴스 기업평가위원 이태훈] 1편에 이어 2편에서는 기업의 계속성과 성장성을 담보하는 ‘기업지배구조’를 투자자 측면에서 살펴보겠다.

한국기업지배구조 연구원은 2002년 ‘기업의 지배구조(Corporate Governance)’ 리뷰 1호에서 기업지배구조에 대해 정의했다. 이 시기는 미국의 엔론사태 등으로 기업경영의 투명성이 중요해진 시기이자 한국 기업지배구조 분야의 태동기라고도 할 수 있다.

이에 따르면 기업지배구조=경영의 투명성=회계의 투명성이다. 이런 기업은 높은 자본비용을 부담하고 성장성을 담보하는 사업확장, M&A에 소요되는 자금 조달에 있어 비용 과다로 성장성을 담보하기 어려워진다.

당시 기업지배구조 모범기업으로 선정된 삼성전기, 대구은행, 현대자동차 중 삼성전기에 대해 살펴보면 투자자 입장에서 기업지배구조 인식에 대한 체감 강도가 높아질 것이라 생각한다. 물론 일부 선정이유에는 동의하지 않을 수도 있다.

[삼성전기]

1. 주주중시경영: 소액주주의 고배당요구, 자사주소각규정 신설, 국내외 IR 33회 개최, 소액주

주의 높은 주주총회 참석률, 집중투표제 도입, 자사주 1000만주 소각 등

2. 사외이사의 독립성: 사외이사의 이사회 참석률 100%,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를 통한 사외

이사선임과정

결국 기업경영의 투명성과 주주중시 경영여부 및 정도가 기업지배구조를 측정하는 척도인 것이다.

주식시장에서 한국기업 주가가 저평가되고 있다는 의미로 사용되는 ‘코리아 디스카운트(Korea Discount)’는 ‘지배구조 디스카운트’라고 표현하는 것이 종목 발굴 시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.

기업지배구조가 취약한 기업의 경우 개선 가능성이 없다면 아무리 고성장 저PBR 종목이라도 리스크가 남게 된다.

이 페이지의 콘텐츠는 CEO Ranking News 의해 작성되었습니다.

Scroll Top